전체 메뉴

  • 전체기사
  • 종합
  • 5차 산업&융복합
    • AI.로봇.IOT
    • Big Date
    • 드론. UAM.항공
    • e-모빌리티.스마트농기계.배터리
    • 기업
  • 에너지
    • 수소경제
    • 핵융합
    • 신재생
    • 전력.원자력
    • 가스.자원
    • 수요관리
  • ESG·환경
  • 경제
    • 정책
    • 산업
    • 금융.증권
  • 이슈&피플
    • 인터뷰
    • 칼럼.기고
    • 인사.동정
    • 사람과사람
  • 글로벌
전체기사
종합
5차 산업&융복합
  • AI.로봇.IOT
  • Big Date
  • 드론. UAM.항공
  • e-모빌리티.스마트농기계.배터리
  • 기업
에너지
  • 수소경제
  • 핵융합
  • 신재생
  • 전력.원자력
  • 가스.자원
  • 수요관리
ESG·환경
경제
  • 정책
  • 산업
  • 금융.증권
이슈&피플
  • 인터뷰
  • 칼럼.기고
  • 인사.동정
  • 사람과사람
글로벌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 전체기사
  • 종합
  • 5차 산업&융복합
  • 에너지
  • ESG·환경
  • 경제
  • 이슈&피플
  • 글로벌
  • 뉴스에프엔 소개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불편신고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청정 수소와 탄소 소재로…WASTE2H2 혁신 기술 등장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유럽연합(EU) 지원으로 진행되는 WASTE2H2 프로젝트가 플라스틱 폐기물을 청정 수소와 고부가가치 탄소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기존 고온·다단계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폐기물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획기적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다.전 세계 연간 플라스틱 생산량은 3억 톤에 달하며, 이 중 80% 이상

10억 유로 투입된 73개 프로젝트, 유럽 녹색 전환 가속화한다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유럽연합이 기후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10억 유로 규모의 연구·혁신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했다. ‘그린딜 지원 사무소(GDSO)’를 통해 진행되는 73개 프로젝트는 산불 관리부터 순환경제, 에너지 저장, 수소 생산까지 통합적 해법을 제시하며 유럽의 녹색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유럽연합(EU)은 2050년 세계

Gauss Fusion, 유럽 최초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설계 공개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유럽 그린테크 기업 Gauss Fusion이 유럽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설계 보고서를 공개하며, ‘실험실의 기술’로 불리던 핵융합을 상업 전력망에 연결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독일 정부가 20억 유로 규모의 핵융합 실행계획을 발표한 직후 공개된 이번 보고서는 유럽이 세계 핵융합 경쟁에서 선두를 노린다는 의지를

작센, ‘SAXFUSION’ 출범…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전초기지 구축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독일 작센주가 ‘SAXFUSION’ 네트워크 출범을 통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글로벌 전초기지로 도약을 선언했다. ‘인류의 에너지 성배’로 불리는 핵융합 기술을 연구 단계에서 산업 현장으로 전환해 유럽의 청정 전력 미래를 앞당기겠다는 구상이다. 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SAXFUSION은 헬름홀츠-드레스덴-로센도르프(HZ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제도 지원 시급…“전기·자율운항 선박 인증체계 구축해야”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전기 추진과 자율운항 기술이 해양 모빌리티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가운데, 업계와 전문가들은 “제도적 지원 없이는 상용화가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친환경 선박 확산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인증체계 마련과 보조금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업계, 제도적 기반 부재 지적 최근 열린 관련 포럼에서 친환경 해양

  • 미 육군용 자율 전투 차량, BAE·Forterra 협력으로 신속 개발

  • 엔지니어링 폴리머와 IoT, 손상 없는 공급망 실현

  • 연구, 협업 성과 높이는 ‘리더-추종자 관계’ 입증

주요뉴스

  • 1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제도 지원 시급…“전기·자율운항 선박 인증체계 구축해야”

  • 2

    미 육군용 자율 전투 차량, BAE·Forterra 협력으로 신속 개발

  • 3

    엔지니어링 폴리머와 IoT, 손상 없는 공급망 실현

  • 4

    유럽, 배터리 테스트 디지털 전환 가속… 프로젝트 ‘THOR’ 본격화

  • 5

    연구, 협업 성과 높이는 ‘리더-추종자 관계’ 입증

에너지

Gauss Fusion, 유럽 최초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설계 공개

김맹근 기자

작센, ‘SAXFUSION’ 출범…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전초기지 구축

김맹근 기자

테스트 배너

하니웰·LS일렉트릭,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데이터센터·BESS 혁신 가속화

김익수 기자

프린스턴 AI ‘Diag2Diag’, 핵융합 발전 안정성 혁신

김익수 기자

테스트 배너

ESG·환경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청정 수소와 탄소 소재로…WASTE2H2 혁신 기술 등장

조남준 기자

그라디언트, ‘ForeverGone’으로 PFAS 파괴 기술 선도

김맹근 기자

테스트 배너

남극 해빙, 지구 온난화 가속화의 ‘열쇠 변수’로 부상

조남준 기자

공기 중 미세 플라스틱, 글로벌 규제 필요성 촉발

김맹근 기자

테스트 배너
  • 전체
  • 전체기사
  • 종합
  • 5차 산업&융복합
  • 에너지
  • ESG·환경
  • 경제
  • 이슈&피플
  • 글로벌
  •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청정 수소와 탄소 소재로…WASTE2H2 혁신 기술 등장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유럽연합(EU) 지원으로 진행되는 WASTE2H2 프로젝트가 플라스틱 폐기물을 청정 수소와 고부가가치 탄소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기존 고온·다단계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폐기물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획기적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다.전 세계 연간 플라스틱 생산량은 3억 톤에 달하며, 이 중 80% 이상
    2025.10.11 09:30
  • 10억 유로 투입된 73개 프로젝트, 유럽 녹색 전환 가속화한다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유럽연합이 기후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10억 유로 규모의 연구·혁신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했다. ‘그린딜 지원 사무소(GDSO)’를 통해 진행되는 73개 프로젝트는 산불 관리부터 순환경제, 에너지 저장, 수소 생산까지 통합적 해법을 제시하며 유럽의 녹색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유럽연합(EU)은 2050년 세계
    2025.10.11 09:27
  • Gauss Fusion, 유럽 최초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설계 공개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유럽 그린테크 기업 Gauss Fusion이 유럽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설계 보고서를 공개하며, ‘실험실의 기술’로 불리던 핵융합을 상업 전력망에 연결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독일 정부가 20억 유로 규모의 핵융합 실행계획을 발표한 직후 공개된 이번 보고서는 유럽이 세계 핵융합 경쟁에서 선두를 노린다는 의지를
    2025.10.11 09:24
  • 작센, ‘SAXFUSION’ 출범…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전초기지 구축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독일 작센주가 ‘SAXFUSION’ 네트워크 출범을 통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글로벌 전초기지로 도약을 선언했다. ‘인류의 에너지 성배’로 불리는 핵융합 기술을 연구 단계에서 산업 현장으로 전환해 유럽의 청정 전력 미래를 앞당기겠다는 구상이다. 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SAXFUSION은 헬름홀츠-드레스덴-로센도르프(HZ
    2025.10.11 09:21
  • 하니웰·LS일렉트릭,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데이터센터·BESS 혁신 가속화
    [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하니웰과 LS일렉트릭이 데이터센터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 분야에서 글로벌 전략적 협력을 맺고 차세대 전력 관리 혁신에 나선다. 양사는 AI와 통합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지능형 인프라를 구축해 운영 효율성과 에너지 복원력을 동시에 강화한다는 계획이다.글로벌 빌딩 자동화·제어 솔루션 선도기업 하니웰(NASDAQ: H
    2025.10.09 11:54
  • Septentrio, HxGN SmartNet과 손잡고 전 세계 GNSS 보정 서비스 강화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글로벌 GNSS 솔루션 기업 Septentrio가 Hexagon의 SmartNet 보정 서비스를 Agnostic Corrections 파트너 프로그램에 추가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단일 공급자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고정밀 보정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됐다.Hexagon의 자회사이자 고정밀 G
    2025.10.09 11:50
  • 아스터, 150만 싱가포르달러 장학기금 조성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싱가포르의 차세대 엔지니어 육성을 위해 글로벌 에너지·화학·인프라 기업 아스터(Aster)가 150만 싱가포르달러(약 15억 원) 규모의 장학기금을 출연한다. 이 기금은 싱가포르 3개 주요 대학에 무상 장학금(bond-free bursary) 형태로 제공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우수 공학도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학업에 전념
    2025.10.09 09:28
  •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제도 지원 시급…“전기·자율운항 선박 인증체계 구축해야”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전기 추진과 자율운항 기술이 해양 모빌리티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가운데, 업계와 전문가들은 “제도적 지원 없이는 상용화가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친환경 선박 확산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인증체계 마련과 보조금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업계, 제도적 기반 부재 지적 최근 열린 관련 포럼에서 친환경 해양
    2025.10.06 10:41
  • 미 육군용 자율 전투 차량, BAE·Forterra 협력으로 신속 개발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BAE Systems는 Forterra와 협력해 미 육군 기갑여단 전투팀을 강화할 자율 장갑 다목적 차량(AMPV) 프로토타입을 신속하게 개발했다. 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이 차량은 내년 라이브 시연을 목표로 제작되었으며, 기존 M113 차량 제품군을 대체하고 새로운 임무 세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AMPV는 일반 임무,
    2025.10.05 18:27
  • 엔지니어링 폴리머와 IoT, 손상 없는 공급망 실현
    [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빠르게 변화하는 물류 환경에서 배송 품목의 손상 없는 공급은 여전히 큰 과제다. 거친 도로, 온도 변화, 기타 예측 불가능한 요인은 상품 운송을 위협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혁신적인 솔루션이 요구된다.최근 엔지니어링 폴리머와 사물인터넷(IoT)의 결합이 손상 없는 공급망 구축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엔지니어링 폴리머는 포장재
    2025.10.05 18:23
  • 프린스턴 AI ‘Diag2Diag’, 핵융합 발전 안정성 혁신
    [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수십 년간 전 세계 과학자들은 깨끗하고 사실상 무한한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핵융합 발전의 실현을 추구해왔다. 하지만 핵융합로 내부의 고온 플라즈마 제어는 여전히 극도로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센서 하나의 결함이나 데이터 누락만으로도 실험이 중단되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프린스턴 대학교와 미국 에너지부의
    2025.10.05 18:20
  • 유럽, 배터리 테스트 디지털 전환 가속… 프로젝트 ‘THOR’ 본격화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유럽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테스트 혁신에 나섰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Horizon Europe 프로젝트인 ‘THOR’는 배터리 설계·성능·안전 검증을 가속화하기 위해 예측 디지털 트윈을 개발, 기존 물리적 시험 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현재 배터리 산업은 긴 시간과 막
    2025.10.05 18:16
  • 그라디언트, ‘ForeverGone’으로 PFAS 파괴 기술 선도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환경과 인류 건강을 위협하는 ‘영원한 화학물질(PFAS)’ 제거를 둘러싸고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수처리 기업 그라디언트(Gradiant)가 혁신적 파괴 플랫폼 ‘ForeverGone’을 선보이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단순 포집 방식을 넘어 현장에서 PFAS를 원천적으로 파괴함으로써 비용
    2025.10.05 18:11
  • 남극 해빙, 지구 온난화 가속화의 ‘열쇠 변수’로 부상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남극 해빙이 지구 온난화의 속도를 가늠하는 핵심 변수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해빙의 범위와 구름량은 해양 열 흡수와 표면 온난화의 강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기존 기후 모델이 온난화의 심각성을 과소평가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최근 외신에 따르면 소르본대학의 리누스 보그트(Linus Vogt) 연
    2025.10.05 18:07
  • 연구, 협업 성과 높이는 ‘리더-추종자 관계’ 입증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여러 사람이 함께 일할 때 협력은 종종 더 나은 성과를 만들어내지만, 반대로 비효율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 오사카 도립대 연구진은 이러한 차이를 설명할 열쇠로 ‘리더-추종자 관계’의 중요성을 밝혀냈다.오사카 도립대학 공학연구과 타카이 아스카 조교수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로봇 팔을 이용해 막대를 수평으로 유지한 채 운반하는
    2025.10.05 18:03
  • 구글 딥마인드, 휴머노이드 로봇 시연…전문가 “아직 인간처럼 생각 못해”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구글 딥마인드가 자연어 명령만으로 옷을 접고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기술이 “인간과 같은 사고”로 오해되어서는 안 된다며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지난 9월 25일, 구글 딥마인드는 자사의 최신 AI 모델 ‘제미니 로보틱스 1.5’ 및
    2025.10.05 17:59
  • 폐기물에서 부로: 고급 여과가 순환 경제의 가치를 끌어올리다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세계 경제는 사용된 재료 재활용 비율이 6.9%에 불과하며, 천연 자원 고갈과 생물 다양성 손실, 기후 변화 가속화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폐기물을 단순히 버리는 대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자원으로 전환하는 것은 환경적 의무이자 경제적 기회로 주목받는다.핵심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고급 여과 기술이다. 다양한 산업에서 폐기물 흐
    2025.10.03 08:12
  • 조용한 속도: 유럽, 청정 항공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다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유럽의 항공우주 산업이 새로운 혁신 단계에 접어들었다. 에어버스 헬리콥터의 RACER(Rapid and Cost-Effective Rotorcraft)는 기존 헬리콥터보다 빠르고 조용하며 연료 효율이 뛰어난 고속 회전익기로, 유럽의 청정 항공 목표와 기술 협력의 상징이 되고 있다. 유럽 협력의 결실, RACER RACER의 개발
    2025.10.03 08:05
  • 유럽 공급망, 혼잡 속 협력으로 답을 찾다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유럽 공급망은 에너지 불안, 기후 변화, 운송 혼잡 등 다중 압박 속에서도 위기가 아닌 협력의 물결을 만들어내고 있다. DP World의 유럽 지속 가능성 담당 부사장 니콜라스 마제이(Nicholas Mazzei)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화물 소유자, 물류 제공업체, 항만 당국이 데이터 공유, 디지털 도구 활용, 물리적 인프라 개
    2025.10.03 08:02
  • 독일, 첫 핵융합 발전소 건설 추진 본격화
    [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독일 정부가 에너지 안보와 기후중립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미래 전략으로 ‘핵융합 발전소 건설’을 공식화했다. 연방 내각은 최근 행동 계획 「핵융합 발전소로 가는 길에 있는 독일」을 승인하고, 2029년까지 20억 유로 이상을 투입해 연구 인프라 구축과 핵심 기술 실증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독일 역사상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2025.10.03 06:39
  • 뉴스에프엔 소개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불편신고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제호 : 뉴스에프엔  |  연락처 : 02-2068-4573  |  이메일 : k-cnj@daum.net  |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38길 13-7 302호
등록번호 서울, 아 54811  |  등록일자 2023.04.20  |   발행인 양미애  |  편집인 조남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변국영  | 
2024 © 뉴스에프엔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