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VADZIM SHUBICH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전기차(EV) 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확대되면서 주요국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외신을 종합하면 영국의 Zemo Partnership 소속 전문가인 닐 월리스와 닐 스톡리는 “전기차 전환은 환경 의무를 넘어 국가 경제의 핵심 과제로 부상했다”고 최근 밝혔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1,700만 대를 넘었으며, 이는 2020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2025년 1~9월에도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며 급성장이 이어졌다. 판매량 가운데 1,100만 대 이상이 중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등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과 배터리 산업을 기반으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산업이 기후 대응뿐 아니라 제조업·에너지안보·기술경쟁력과 직결된 국가 전략 요소라고 분석했다. 영국 자동차산업은 연간 670억 파운드의 경제 기여와 78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으나, 내연기관 퇴출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제조 기반을 전기차 중심으로 전환하지 못할 경우 해외 경쟁국에 시장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배터리 가격 하락도 전기차 확산을 가속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글로벌 배터리 단가는 2030년경 kWh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기차의 총소유비용(TCO)을 내연기관 차량보다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영국 기준 가정 충전 비용은 마일당 2펜스 미만으로, 휘발유·디젤 차량의 13~18펜스에 비해 현저히 낮다.
Zemo Partnership은 전기차 생산 확대가 기가팩토리 투자, 소재 연구, 재활용 기술, 디지털 서비스 등 신규 산업 생태계 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는 재생에너지 변동성을 조절하는 이동형 저장 자산으로서 전력망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산업 전환 과정의 세수 감소 문제도 지적됐다. 영국 정부는 연간 250억 파운드를 연료세로 확보하고 있지만, 전기차 전환이 가속될 경우 대체 재원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혼잡요금, 차등 전기요금제 등 새로운 재정 모델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최근 ZEV 의무제를 도입해 제조사별 전기차 판매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도록 규정했으며, 그리드 연결 개선, 산업 전략 개편, 기술 투자 확대 등 후속 조치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충전 인프라 확충, 공급망 강화, 전문 인력 양성 등에서 여전히 추가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월리스와 스톡리는 “전기차 전환은 경제적 필수이며, 기술과 제조 경쟁력이 향후 국가 성장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전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국가는 글로벌 산업 재편 과정에서 뒤처질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