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시행될 지속 가능한 제품을 위한 에코디자인 규정(ESPR) 작업 계획을 채택하며, EU 전역의 제품 표준을 순환경제 중심으로 재편하는 데 본격 착수했다.

이번 계획은 에너지 효율과 재활용 가능성 등 지속가능성을 기준으로 주요 제품군을 규제 대상으로 삼아, 지속 가능한 제품을 유럽의 ‘새로운 표준’으로 만들겠다는 전략적 전환의 일환이다.

외신에 따르면 EU 번영 및 산업 전략 담당 부사장 스테판 세주르네(Stéphane Séjourné)는 “이 에코디자인 이니셔티브는 지난 20년간의 국제적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모든 유럽 시민과 기업에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제품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단일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기본 조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ESPR 규정은 원산지에 관계없이 유럽 단일 시장에 출시되는 모든 제품에 동일한 지속가능성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공정 경쟁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현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2024년 7월 발표된 이번 작업 계획은 철강, 알루미늄, 섬유(특히 의류), 가구, 타이어, 매트리스 등 자원 집약적인 제품군을 우선 대상으로 지정했다. EU는 이들 제품의 수명 연장, 수리 가능성, 재활용성 강화를 통해 배출량을 줄이고,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경제적·환경적 이익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계획의 핵심에는 Digital Product Passport(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각 제품의 환경 발자국, 재활용 가능성, 수리 용이성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해, 소비자가 보다 쉽게 환경 친화적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세탁기, 전자제품, 소형 가전 등에는 **‘수리 가능성 점수’**가 부여되어 제품 선택에 실질적인 지표를 제공하게 된다.

지속 가능한 경쟁력… 중소기업은 ‘적응 지원’

환경 담당 EU 집행위원 제시카 로스월(Jessika Roswall)은 “우선순위를 명확히 설정함으로써 산업계에 법적 확실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고, 혁신과 투자를 촉진하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특히 “EU는 순환경제 전환이 단지 규제가 아닌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회가 되도록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EU는 중소기업(SME)들이 새 규정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전담 지원 프로그램과 정책 유연성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제품이 EU 전역에서 디폴트 선택지(default choice)가 되도록 설정되었으며, 일부 기존 에너지 제품은 2026년 말까지 전환 유예 기간을 부여받는다.

EU는 이를 통해 단순히 규제 집행을 넘어, 지속 가능한 제품과 순환경제를 위한 글로벌 벤치마크를 제시하며 환경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