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셔터스톡/핏 즈투디오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온실가스 감축 시설과 연구개발(R&D)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정부가 1,000억 원 규모의 추가 융자를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지난 21일부터 9월 19일까지 ‘2025년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사업’ 대상 기업을 추가 모집한다고 밝혔다.

선정된 기업은 최대 500억 원까지, R&D 자금은 최대 100억 원까지, 최대 10년(3년 거치 7년 균등분할상환) 조건으로, 1.3% 금리(2025년 8월 기준)로 융자를 받을 수 있다. 금리는 매년 공공자금관리기금 대출금리에서 중소·중견기업은 2%p, 대기업은 1.5%p를 차감해 적용되며, 현재 금리 하한인 1.3%가 적용된다.

이번 지원은 단순 자금 지원을 넘어 탄소중립 전환을 선도하는 산업계 프로젝트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상 산업과 사업 재편계획 승인 기업뿐 아니라, 범정부적으로 추진되는 ‘넷제로 챌린지 X’ 선정 기업에도 선정평가 시 가점이 부여된다. 이를 통해 정부는 탄소중립 투자에 대한 기업 참여 유인을 높이고, 민간 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산업부에 따르면, 2022년부터 동 사업을 통해 총 83건의 프로젝트에 6,480억 원의 융자금을 지원하며, 약 2.6조 원 규모의 민간 탄소중립 신규 투자를 창출했다. 이는 국내 산업계가 저탄소 설비 전환과 R&D 투자 확대를 본격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이번 선도프로젝트 지원 사례는 오는 8월 27~29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되는 ‘2025 기후산업 국제박람회’에서 별도 홍보 부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융자 지원을 통해 기업이 선제적으로 저탄소 기술과 설비를 도입하고,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앞장서는 선도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탄소중립 전환이라는 국가 정책 목표와 기업 혁신 투자를 연결하는 대표적 사례로, 향후 국내 산업계의 저탄소 설비 확산과 기술 혁신 속도를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