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 셔터스톡/브렌든 하워드

[뉴스에프엔 김규훈 기자] 영국 정부가 지역 재활용 서비스를 전면 개혁하기 위해 11억 파운드를 투입한다. 이번 조치는 납세자의 부담을 줄이고, 지역 사회의 수거 체계를 현대화하며, 포장재 처리 방식에 대한 생산자의 책임을 대폭 강화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영국 환경부는 최근 재활용 인프라와 수거 체계 강화를 위한 ‘변화를 위한 계획(Plan for Change)’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전국의 지방의회에 총 11억 파운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메리 크리 순환경제부 장관은 "우리는 지역 재활용 서비스에 10억 파운드 이상을 투입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오늘의 쓰레기를 내일의 포장재로 바꾸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는 우유병, 시리얼 상자, 통조림 등 일상적인 포장 폐기물의 수거 및 처리 비용을 지방정부가 부담해왔다. 하지만 새롭게 도입될 생산자 책임 확대 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에 따라 포장재를 사용하는 기업이 재활용 비용의 상당 부분을 부담하게 된다. 재활용이 어려운 재질일수록 비용은 높아지며, 재사용 또는 리필 가능한 포장에는 혜택이 주어진다.

이번 개혁은 단순히 비용 전가를 넘어, 산업계 전반에 재료 절감·재활용 가능성 향상·친환경 설계로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적 변화를 예고한다.

정부는 해당 자금이 실제로 지역 주민들의 재활용 수거 서비스 개선에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 목적을 감시하고 필요 시 PackUK가 자금 배정을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내년부터는 지역 의회가 재활용 분류 인프라 개선과 같은 시설 업그레이드에도 이 자금을 활용할 수 있으며, 런던 사우스워크에 위치한 비올리아(Veolia)의 통합 폐기물 관리 센터가 그 대표 사례로 꼽힌다.

비올리아 영국 지사 CEO 가빈 그레이브슨은 “우리는 지방 당국이 더 많은 자원을 수거하고, 브랜드 및 생산자가 재활용 콘텐츠를 제품에 포함시키는 데 있어 실질적인 기여를 하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포장재 개혁은 장기적으로 10억 파운드의 민간 투자와 2만 5천 개의 녹색 일자리 창출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2027년 보증금 반환 제도(Deposit Return Scheme) 를 도입하여 소비자가 음료 용기를 반환할 경우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2025년부터는 사업장, 2026년부터는 가정에서도 ‘보다 단순한 재활용(Simpler Recycling)’ 체계가 도입될 예정이며, 재활용률 증대와 매립지 부담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순환경제 태스크포스(Circular Economy Taskforce) 는 올가을 발표될 국가 전략에 따라, 재료 사용과 자원 순환 방식의 전면적 혁신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영국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탄소중립을 향한 실질적 행보이자, 지속가능한 경제를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의 일환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