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미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글로벌 리더십 강화를 위해 대규모 인프라 확장 계획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패권 경쟁에 돌입했다.

외신을 종합하면 미 에너지부(DOE)는 AI 지원 데이터센터와 이를 뒷받침할 에너지 인프라를 미국 전역에 구축하겠다는 야심찬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DOE는 연방 토지의 잠재적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는 정보 요청(RFI)을 발행하고, 민간 부문과의 협업을 위한 기반 마련에 나섰다. 이 같은 조치는 공공 자원을 적극 활용해 최첨단 AI 시설 개발을 가속화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다.

DOE는 이미 원자력 등 첨단 에너지원이 확보된 16개 후보지를 선정했으며, 데이터센터 건설은 오는 2027년 말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크리스 라이트 미 에너지부 장관은 “AI 패권을 둘러싼 경쟁은 제2의 맨해튼 프로젝트와도 같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과 국립 연구소의 혁신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은 이 경쟁에서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DOE는 AI 혁명을 뒷받침하기 위해 국내 자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국민에게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고성능 컴퓨팅 능력과 방대한 데이터 저장,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요구하고 있다. 적절한 인프라 없이 AI 경쟁력을 확보하기란 불가능하다. 이는 곧 국가 안보, 경제 성장, 과학 연구, 에너지 지속 가능성이라는 핵심 전략 목표와 직결된다.

국가 안보: AI는 국방과 사이버 보안, 정보 분석 분야에서 필수 기술로, 기술적 우위 확보는 곧 안보 주권 강화로 이어진다.

경제 성장: AI 기반 산업은 일자리 창출과 산업 혁신의 중심축이 되고 있으며, 인프라 확장은 경제 성장의 발판이다.

과학 연구: 의료, 기후, 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반 분석은 획기적인 성과를 가능케 한다.

에너지 지속 가능성: AI 인프라의 효율적 설계는 재생에너지 활용과 에너지 비용 절감, 탄소 배출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연방 기관과 민간 기업 간의 협력을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위해 민간의 기술력과 자본을 끌어들이겠다는 전략이다.

DOE의 세계적 수준의 연구소와 AI 연구 허브를 연계하면, 기술 혁신을 위한 강력한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RFI를 통해 산업계로부터 실질적인 피드백을 받아 전략을 정교화하고 경제적 타당성도 확보해나갈 방침이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미국의 미래 성장 동력을 결정짓는 핵심 전략으로 평가된다. 데이터센터 확충과 에너지 시스템 개선, 민관 협업 체계 강화는 미국이 AI 기반 미래 사회의 주도권을 쥐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AI 주도권을 둘러싼 국제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미국은 이번 계획을 통해 기술 리더십, 경제 번영, 에너지 안정성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겠다는 전략적 행보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