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독일 정부가 에너지 안보와 기후중립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미래 전략으로 ‘핵융합 발전소 건설’을 공식화했다. 연방 내각은 최근 행동 계획 「핵융합 발전소로 가는 길에 있는 독일」을 승인하고, 2029년까지 20억 유로 이상을 투입해 연구 인프라 구축과 핵심 기술 실증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독일 역사상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건설을 겨냥한 국가 차원의 실행 계획으로, 글로벌 에너지 혁신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 셔터스톡/다크폭스엘릭서
20억 유로 투자… 세계 최초 상용화 노린다
이번 실행 계획은 핵융합 발전소 건설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며 독일을 국제 핵융합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연구 자금 지원 외에도 새로운 실험 시설과 기술 시연기 개발이 포함돼 있다.
도로테 베어(Dorothee Bär) 연방 연구·기술·우주부 장관은 “에너지 공급 불안정이 우리 경제와 주권의 기반을 위협하고 있다”며 “안전하고 기후 친화적이며 모든 국민이 감당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서 핵융합이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이어 “이번 실행 계획은 독일이 세계 최초의 핵융합 발전소 건설을 실현하는 길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태양의 원리로 미래 에너지원 확보
핵융합은 태양에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초고온·초고압 환경에서 여러 수소 원자가 결합해 헬륨을 형성하면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과정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방사성 폐기물이 거의 없어 ‘궁극의 청정 에너지’로 불린다.
핵융합 에너지는 기저부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간헐성 문제를 가진 재생에너지의 한계를 보완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 나아가 수소 생산 등 고에너지 산업 공정에도 활용 가능성이 제시되며, 장기적으로 사회·경제 전반을 지탱할 에너지 기반으로 평가된다.
규제·산업 생태계 정비 과제
독일 정부는 기술 개발과 더불어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핵융합을 현행 방사선 방호법에 명시적으로 포함시켜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관련 스타트업과 산업계에 계획 안정성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번 실행 계획에는 8대 행동 분야가 제시돼 있으며, 연구개발 지원, 인프라 투자,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 산업 참여 확대 등이 핵심이다. 전문가들은 “핵융합 발전소 실현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규제·사회적 수용성·산업 생태계가 함께 구축되어야 가능하다”고 지적한다.
“미래 에너지 공급의 투자”
핵융합은 단기간 내 상용화가 가능한 해법은 아니다. 그러나 독일 정부는 이번 결정을 통해 에너지 전환의 장기 전략으로서 핵융합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다. 안정적이고 청정한 기저부하 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가 본격화되면서, 독일은 향후 수십 년간 세계 핵융합 경쟁의 핵심 주자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