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 셔터스톡/메쉬큐브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전 세계적으로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는 핵융합 상용화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유럽이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럽 핵융합 협회(EFA)는 민관 협력 강화와 맞춤형 규제 체계 수립을 통해 유럽 산업의 르네상스를 이끌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유럽 핵융합 협회(EFA) 회장 밀레나 로베다는 최근 인터뷰에서 “산업 규모의 핵융합 발전소는 한 국가나 기업만으로는 실현할 수 없는 도전”이라며 “전 유럽 차원의 전략적 협력과 규제 개선, 투자 확대가 핵심”이라고 밝혔다.

EFA는 브뤼셀에 본사를 둔 비영리 국제기구로, 핵융합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45개 이상의 유럽 기업들을 한데 모으고 있다. 협회는 핵융합 기술의 상업화를 위한 정책 제안, 산업 육성, 인력 양성 등을 추진 중이다.

로베다 회장은 현재 유럽 핵융합 분야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핵융합에 특화된 독립 규제체계 마련을 꼽았다. “핵융합은 핵분열과는 기술적·환경적으로 본질적으로 다르며, 동일한 방식으로 규제하는 것은 산업에 부담만 가중시킨다”고 강조했다.

EFA는 기술 개발과 공급망 강화를 두 축으로 한 실무 그룹을 구성해, 대륙 전역의 정책 결정자들에게 핵융합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단일 목소리로 전달할 계획이다.

그러나 유럽의 전략 부재는 여전히 큰 걸림돌이다. 로베다 회장은 “EU 집행위가 민관 파트너십을 포함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 중이지만, 업계가 스스로 방향을 제시해야 할 상황”이라며 EFA의 설립 배경을 설명했다.

핵융합 산업에 대한 민간 자본 유치도 주요 과제로 꼽혔다. 현재 전 세계 민간 핵융합 투자액 약 70억 달러 중 유럽이 차지하는 비중은 11%에 불과하다. 로베다 회장은 “규제 명확성과 지적재산권 보호 없이 자본은 외부로 빠져나간다”고 지적했다.

유럽은 핵융합 기술의 상당한 전문성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미국과 중국에 비해 산업화 속도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다. “속도가 관건”이라고 강조한 로베다 회장은 “중국은 정부 주도로, 미국은 민간 자본을 바탕으로 빠르게 움직인다. 유럽도 관료주의의 굴레에서 벗어나야 경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로베다 회장은 끝으로 “핵융합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결정적 시점에 와 있다”며 “지금이 유럽이 산업 르네상스를 실현하고 글로벌 핵융합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