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영국 정부가 자동차 산업의 전기차 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해 ‘무공해 차량(ZEV) 의무화’ 정책을 전면 개정했다. 업계에 실질적 유연성을 제공하면서도 2030년까지 가솔린·디젤차 판매를 중단하겠다는 기존 기조는 그대로 유지된다.

외신을 종합하면 개정안은 제조업체들이 변화하는 시장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도 ZEV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를 2035년까지 허용하고, 전기차(ZEV) 크레딧 차입 및 이전 규정을 확대함으로써, 산업 전반에 숨통을 틔우는 동시에 실질적인 투자와 생산 촉진을 유도하고 있다.

키어 스타머 총리는 “영국의 전통 있는 자동차 기업들이 전기차 시장의 글로벌 주역이 되도록 정부가 선제적으로 행동에 나서야 할 때”라며, “이번 조치는 영국 제조업과 노동자의 미래를 위한 강력한 신호”라고 강조했다.

ZEV Mandate 조정은 단지 유예 조치에 그치지 않는다. 중소 볼륨 제조업체, 밴 생산업체 등 다양한 기업군에 현실적인 이행 경로를 제시하며, 전체 산업 생태계의 전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뤄졌다. 럭셔리·고성능 브랜드인 맥라렌(McLaren)과 애스턴마틴(Aston Martin) 등은 면제 대상에 포함되어 유산과 혁신의 균형을 꾀한다.

영국 정부는 전기차 전환 인프라에도 공격적으로 투자 중이다. 현재까지 75,000개 이상의 공공 충전소가 운영 중이며, 매 29분마다 새 충전소가 설치되고 있다. 여기에 23억 파운드의 공적 자금이 투입돼 생산역량 확대, 충전망 개선, 세금 인센티브 강화 등이 병행되고 있다.

하이디 알렉산더 교통부 장관은 “이번 개정은 일자리와 기업을 지키는 동시에 영국을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의 리더로 세우기 위한 핵심 수단”이라고 밝혔다.

기후목표와 산업정책이 조화를 이루는 이번 ZEV Mandate 개정은 영국 자동차 산업의 전환점이자, 글로벌 전기차 경쟁 구도 속에서 영국의 입지를 공고히 하려는 전략적 행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