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셔터스톡/안드레이 부사장
[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위성 통신과 우주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인류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바로, 통제를 벗어난 우주 쓰레기다.
시스템 엔지니어이자 IEEE 종신 선임회원인 폴 코스텍(Paul Kostek)은 위성 교통 관리와 우주 환경 보존을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우주 통신 인프라의 핵심인 위성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급격히 늘어난 우주 쓰레기가 저궤도(LEO)부터 정지궤도까지 뒤덮으며, 충돌 위험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현재 궤도를 도는 10cm 이상의 파편은 4만여 개, 1mm~1cm 크기의 파편은 무려 1억 3천만 개에 달한다. 이 중 3만7천여 개만이 실시간으로 추적되고 있어, 위성 교통 시스템은 사실상 ‘눈 가린 질주’에 가깝다.
특히 수명이 다한 위성이 궤도에 남아 충돌 위험을 높이고 있다는 점은 국제 사회의 공통된 우려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미국 기반의 위성 운영자들에게 임무 종료 후 5년 이내에 궤도 이탈 조치를 취하도록 제안하고 있지만, 글로벌 수준의 구속력 있는 규범은 여전히 부재하다.
위성 ‘서비스 연장’과 ‘재활용’ 개념도 산업 내 관심사로 부상 중이다. 연료 재공급, 시스템 업데이트 등을 통해 폐기를 늦추고, 환경 부담을 줄이자는 시도다. 그러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선 실시간 추적 시스템과 충돌 회피 기동, 노후 위성 제거 등 다층적 전략이 동시에 요구된다.
1978년 NASA 과학자 데이브 케슬러가 제기한 ‘케슬러 증후군’은 이러한 위협을 상징적으로 설명한다. 일정 수준을 넘긴 우주 쓰레기가 충돌을 일으켜 연쇄 반응을 낳고, 결국 위성 발사와 궤도 운용 자체를 마비시킨다는 이론이다. 이 경우, 인터넷, GPS, 항공·해운 시스템 등 지구 기반의 인프라까지 치명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실제로 SpaceX의 Starlink는 2023년 하반기 단 6개월 동안 2만4천여 건의 충돌 회피 기동을 수행했다. 그만큼 우주 공간은 이미 혼잡하며, 위성 간 ‘교통정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이러한 가운데 민간 기업들은 잔해 제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로봇 팔, 그물망, 고리 포획 장치 등 다양한 기술이 시험 중이지만, 가장 큰 난관은 ‘누가 비용을 부담할 것인가’이다. 특히 파산하거나 연락이 두절된 운영자의 위성은 사실상 ‘우주 방치물’이 되어 공공 위험으로 전락하고 있다.
더불어 우주 기반 시스템의 사이버 보안 역시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위성 해킹, 데이터 스푸핑, 궤도 변경 등 악의적 행위를 막기 위해 설계 단계부터 보안 요소를 통합하는 것이 새로운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현재 미국은 우주 모니터링 체계를 국방부에서 상무부로 이관하며 민간 중심의 관리 체계로 전환 중이다. 전 세계 민간 기업들도 글로벌 추적 시스템 구축을 위해 협력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우주 교통 관리는 어느 한 국가, 어느 한 기업의 문제로 해결할 수 없다. 항공 교통과 같은 국제적 조정 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더 큰 문제는 군사적 위성 실험이 파편을 양산하며 우주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국 정부는 우주의 군사화를 막기 위한 구속력 있는 국제 협약을 논의해야 하며, 악의적 활동에 대한 책임 소재도 명확히 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위성 통신의 안전과 지속 가능성은, 국제 사회가 하나의 원칙 아래 모여 우주 쓰레기와의 싸움에 공동 대응할 때 가능하다. 모든 위성, 모든 운영자들이 동일한 규칙을 따르는 우주 교통 관리 시스템이야말로 이 무법지대를 질서로 이끄는 유일한 해법이다. 그리고 그 논의는 지금, 이 순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