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셔터스톡/퀄리티 스톡 아트
[뉴스에프엔 김맹근 기자]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이 둔화될 기미 없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영국 버밍엄대 연구진은 1990년부터 2023년까지 164개국, 120개 산업 부문을 종합 분석한 결과, 글로벌 무역이 전체 메탄 배출의 약 30%를 차지하며, 특히 개도국의 산업화와 인구 증가가 배출 확산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메탄은 산업화 이전부터 지구 온난화의 약 30%를 유발한 핵심 온실가스다. 특히 이산화탄소보다 대기 체류 시간은 짧지만, 20년 기준 지구온난화지수(GWP)는 80배 이상 커 단기 기후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연구진은 “메탄은 지금 줄이면 곧바로 효과가 나타나는 가스”라며, 신속한 감축의 정책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선진국이 효율성 개선을 통해 경제 성장과 감축을 병행해온 반면, 기술 기반이 부족한 개도국은 배출량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 때문에 국제 협력을 통한 감축 지원, 기술 이전, 공급망 전반의 규제 강화가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메탄 배출의 주요 원천으로 ▲비료 생산 ▲석유·가스 채굴 및 유통 ▲가축 사료 및 축산 ▲폐기물 관리가 꼽혔다. 연구진은 선진국형 첨단 누출 감지 기술 적용, 축산업 사료 개선, 폐기물 관리 강화 등 부문별 맞춤형 대응 전략을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동시에, 붉은 고기 소비 감축 등 생활 차원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역 구조 변화 역시 배출 증가를 가속화했다. 남남 무역이 늘면서 개도국 간 거래가 급격히 확대되었지만, 생산 효율성과 감축 기술이 부족한 개도국 특성상 배출량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국가 단위 대책이 아니라 공급망 전반을 아우르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연구에 참여한 흐로닝언대 클라우스 후바섹 교수는 “메탄은 어디서 배출되는가뿐 아니라 왜 배출되는가를 이해해야 한다”며, “정책입안자들은 국가 기후 전략에 메탄을 적극적으로 통합하고, 공급망 전반을 관리하는 글로벌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사회가 COP28·COP29를 통해 합의한 ‘2030년까지 메탄 감축 가속화’ 목표 달성을 위해, 각국의 정책적 결단과 이행 속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 다시 한 번 확인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