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 © 셔터스톡/Aliaksei Kaponia
[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영국 정부가 전기차(EV)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구매 보조금 제도를 도입했다. 이번 제도는 무공해 차량으로의 전환을 보다 저렴하고 손쉽게 만들고, 동시에 지속가능한 자동차 제조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다.
외신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시행된 영국의 전기차 보조금은 가격이 3만7,000파운드 이하인 신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며, 차량의 환경 성과에 따라 최대 3,750파운드(한화 약 660만 원)까지 지원된다.
영국 정부는 이번 개입을 통해 “자동차 산업의 불확실성이 커진 시점에서, 탄소중립 목표에 대한 확고한 정책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라고 밝혔다.
교통부에 따르면, 이번 전기차 보조금은 총 6억5,000만 파운드의 예산으로 운전자의 연간 차량 운영 비용을 최대 1,500파운드까지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보조금은 2028~2029 회계연도까지 제공될 예정이나, 자금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성도 있다.
지속가능성 기준 충족해야 최대 보조금 혜택
보조금은 차량 제조 시 환경기준 충족 여부에 따라 두 단계로 차등 지급된다. ▲가장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된 차량은 3,750파운드, ▲일부 환경기준을 충족한 차량은 1,500파운드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된다.
여기서 말하는 ‘지속가능한 제조’는 **과학 기반 목표(Science-Based Targets)**를 이니셔티브 차원에서 인증받은 제조사의 차량만이 해당된다. 이는 제조사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적 기후 약속에 부합하는 경로를 따르고 있음을 의미한다.
충전 인프라 확대도 병행 추진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정부는 EV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패키지에는 다음과 같은 지원이 포함된다.
-주택가 교차포장 도로 충전을 위한 2,500만 파운드 투자
-밴·코치·HGV 차량용 차고 충전소 설치
-NHS 시설 내 충전기 설치를 위한 800만 파운드 지원
-주요 도로 EV 허브 표지판 신설 등 인프라 개선
이와 같은 조치는 2030년까지 예정된 60억 파운드 이상의 민간 투자와 함께 추진되며, 전국적 충전소 구축 속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정부는 이번 보조금 제도와 인프라 투자 조치가 결합돼 전기차의 접근성과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실질적인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