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 © 셔터스톡/메타모웍스

[뉴스에프엔 김익수 기자] 영국 정부가 자율주행차 도입을 본격화하며 안전하고 접근 가능한 서비스 구현을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섰다.

외신을 종합하면 릴리안 그린우드(Lilian Greenwood) 미래도로부 장관은 자율주행 여객 서비스(Automated Passenger Services, APS) 허가 제도 및 관련 법적 문서 초안에 대한 공개 협의를 시작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협의는 자율주행차가 택시, 개인 대여 차량, 버스 등으로 상용화되기 전 마련돼야 할 안전 기준, 규제 체계, 서비스 접근성 등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영국 정부는 내년부터 자율주행 서비스의 첫 상용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번 제도 마련은 이를 위한 핵심 기반이 될 전망이다.

그린우드 장관은 “자율주행차는 특히 농촌 지역과 운전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새로운 교통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우리는 이 기술이 대중의 신뢰를 얻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이용자, 업계,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자율주행 서비스가 인적 오류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88%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특히 장애인과 고령자 등 교통 약자의 이동성을 개선하고, 농촌 지역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혁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 SAF와 함께 미래 교통 전략의 핵심 축으로 보고 있다.

이번 협의는 영국 내 자율주행차 시범 운영을 오는 2026년 봄까지 앞당기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시작됐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2027년 하반기 자율주행차법이 완전히 시행되기 전, 안전 운전자 없이 운영되는 소규모 서비스를 앱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자율주행차 산업이 2035년까지 최대 420억 파운드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3만8000개의 고숙련 일자리를 유발하며, 영국 엔지니어링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업계와 대중은 ▲장애인 및 고령자의 이용 편의성 확대 방안 ▲자율주행 서비스의 지역별 승인 절차 ▲운영 허가 변경·철회 조건 등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정부는 이를 토대로 APS 제도와 자율주행차법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Oxa의 CEO 개빈 잭슨(Gavin Jackson)은 “2016년 영국 도로에서 최초로 자율주행차를 시험한 기업으로서, APS 제도 도입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이는 기존 교통망을 보완하는 혁신적 대중교통 서비스를 현실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APS 제도는 택시, 버스 등과 유사한 자율주행 여객 서비스를 규제할 법적 틀로, 자율주행차가 도로에 투입되기 전 철저한 안전 테스트를 거치고, 인간 운전자와 동등 이상의 주행 능력을 갖추도록 요구한다.

영국은 2015년부터 자율주행 시험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며, Wayve와 Oxa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번 협의는 법률과 산업 현실을 연결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영국이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정책 기반을 마련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