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영국의 재생에너지 생산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못해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전력 수요가 낮을 때 생산된 풍력 전기를 일시 차단하기 위해 전력망 운영자가 지불하는 비용이 2025년 초 기준 2억5천만 파운드를 넘어섰다. 이는 발전량 과잉에 따른 '제약 지불금'으로, 동시에 가스 발전소를 가동해 잉글랜드 남부 수요를 맞추는 데도 상당한 비용이 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풍력 발전소가 주로 스코틀랜드 고원 등 전력 수요가 적은 지역에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력을 수요지로 옮기기 위한 송전 인프라는 부족하며, 이는 에너지 저장 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영국 정부는 2030년까지 최대 27기가와트(GW)의 배터리 저장 시설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고, 현재 총 59GW 규모의 저장 프로젝트가 계획 중이다. 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실현 가능성이 불확실한 투기성 프로젝트로, 그리드 연결 승인 지연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규제기관 Ofgem은 연결 대기열 개혁과 인센티브 제도를 추진 중이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에너지 저장이야말로 전기 요금 안정화, 가스 수입 의존도 감소, 재생에너지 효율적 활용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단기 저장(배터리)과 장기 저장(양수 발전, 수소 및 액체 공기 저장)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 가운데 북웨일스 디노르윅과 스코틀랜드 크루아찬 양수 발전소는 각각 9GWh, 7GWh의 용량을 보유 중이다. 여기에 스코틀랜드의 신규 프로젝트 Coire Glas가 완공되면 30GWh의 추가 용량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2022년 가동된 윌트셔 지역의 마인티(Minety) 배터리 설비는 150MW 규모로, 4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 밖에도 수소 기반의 장기 저장 설비(Aldbrough)와 액체 공기 저장 시스템은 계절 간 저장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각각 2026년, 2030년 상업 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과 미국, 독일 등은 이미 에너지 저장 기술 투자를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어, 영국이 녹색 전환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저장 인프라 개발 속도를 더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향후 몇 년간 영국이 이 분야에서 얼마나 빠르게 실질적인 투자를 실행하느냐에 따라, 풍력 발전소에 ‘전원 차단 수당’을 지급하는 과거의 관행이 사라질 수 있을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