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프엔 조남준 기자] 심해 채굴이 해양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은 수십 년에 걸쳐 회복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영국 자연환경연구위원회(UK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가 자금을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인 SMARTEX(Seabed Mining and Resilience to Experimental Impact)의 일환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1979년 북태평양에서 진행된 심해 채굴 실험이 4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 지역 인근의 생물 다양성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다는 결과가 도출했다.
이번 연구는 2023년과 2024년 동안 태평양 심해, 깊이 5,000미터에 위치한 클라리온-클리퍼턴 지역에서 진행됐다. 이 지역은 멕시코와 하와이를 연결하는 대략 중간 지점에 있으며, '심연 평원'으로 알려진 광활한 해저 지역이다.
연구진은 심해 채굴이 전기차 배터리 및 전자기기에 필요한 중요한 금속들이 포함된 해저 결절에서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특히 연구팀은 심해 생물들이 채굴로 인한 퇴적물 노출 및 관련 스트레스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여 심해 채굴의 덜 알려진 영향을 정량화했다.
연구진은 채굴이 심해 어류의 DNA를 어떻게 손상시킬 수 있는지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헤리엇-와트 대학교의 해양 생물학자이자 연구 공동 저자인 마크 하틀 박사는 "이 결절은 수천 년에 걸쳐 쌓인 감자 크기의 광물 퇴적물입니다. 채굴 회사들은 코발트와 니켈 같은 중요한 금속을 채굴하려 하지만, 결절이 산소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를 제거했을 때 심해의 산소량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클라리온-클리퍼턴 지역의 해저에는 약 210억 톤 이상의 결절이 존재하며, 이는 영국 크기의 약 25배에 달하는 600만 평방킬로미터의 면적에 걸쳐 있다. 이 결절 지역은 고도로 전문화된 동물과 미생물들이 서식하는 곳으로, 그 중에는 백악질 껍질을 가진 유공충, 해삼, 그리고 결절에 의존하는 물고기 등이 포함된다.
1979년에 진행된 실험에서는 14미터 길이의 심해 채굴기가 해저에 배치되어 4일 동안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해저 갈퀴를 사용해 결절을 채굴했다. 40년이 지난 지금, 일부 생물군은 회복을 시작했지만, 여전히 많은 유기체들에게 생물학적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진은 결론지었다. 특히, 채굴 후의 물리적 흔적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일부 지역은 여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 심해 채굴은 국제적으로 모라토리엄이 시행 중이며, 국제해저관리국(ISA)은 상업적 채굴을 위한 법적, 재정적, 환경적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심해 생태계가 채굴로 인한 교란에서 회복할 수 있을지 여부는 여전히 중요한 질문으로 남아 있다.
연구팀은 결절 채굴이 해저 생태계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여기에는 해저 아래 서식하는 종들이 의존하는 단단한 표면의 제거와 퇴적물의 압축, 생태계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이 포함된다.
심해 채굴이 기술 발전과 넷 제로 에너지 미래로의 전환을 위한 잠재적 해결책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이 연구는 채굴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면밀히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